본문 바로가기

개념 정리

[개념 정리] 비즈니스 지표와 그 활용

반응형

기업 경영에서 "지표"조직의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의 중요한 도구이다. 기업은 방대한 데이터가 쌓이면, 데이터를 이리저리 뜯어보고 합쳐보기도 하면서 그 속에서 의미 있는 지표를 발굴하게 된다. 흔히 말하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를 떠올려보면 되겠다. "비즈니스 목표를 이루기 위해 꼭 챙겨야할 KPI는 무엇인지, KPI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언제, 얼마나,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 등등..." 지표가 있기 때문에 기업의 방향과 목적을 구체적으로 얘기할 수 있는 것이다.  

 

지표에는 재무지표, 학습/성장지표, 고객 지표, 내부프로세스 지표 등 수많은 지표들이 있다. 산업별로 기업별로 비전도 다르고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활용할 지표도 달라지게 된다. 오늘 포스트에서는 그 많은 지표들 중에서 '시장점유율, 성장률, 매출액'처럼 매우 기초적인 지표들 보다는,,, 산업별 특성에 따라 활용될 수 있는 지표들에는 무엇이 있을까 간단하게 알아보려고 한다. 


 기업의 지표 활용 

1.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사람들이 자신들의 일상을 공유하고, 또 효율적인 마케팅 수단이 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사람들이 그속에서 얼마나 많이 활동하는가, 즉 얼마나 많이 클릭!📲 하는가에 존부가 갈린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클릭!📲(행동)을 취한 사람들의 수를 중요하게 볼 것이다. 클릭 관련 지표들은 다음과 같다. 

  • 링크 클릭
  • 게시물 좋아요, 댓글 또는 공유
  • Facebook 페이지 또는 Instagram 프로필로 이동하는 클릭
  • 사진이나 동영상을 전체 화면으로 확장하기 위한 클릭
  • 트래픽 목표를 사용하는 광고 내의 이미지나 행동 유도 버튼 클릭
  • 광고의 텍스트 설명에 포함된 URL 링크 클릭
  • 잠재 고객용 양식, 캔버스, 컬렉션 등의 전체 화면 경험으로 링크되는 광고 형식 클릭
  • 뉴스피드 광고 내의 링크를 통해 바로 웹사이트와 앱 스토어로 이동하기 위한 클릭

중요한 것은 단순 클릭의 수가 아니라 그 클릭이 얼마나 유의미한가를 가려내는 것 역시 중요할 것이다. 나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인스타그램에 접속하고, 의미 없이 좋아요를 누르고, 의미 없이 페이지를 왔다갔다 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것을 잘 가려낼 수 있어야 실력 있는 데이터 애널리스트가 아닐까...

 

'페이스북'은 고맙게도 그들의 '활용중인 지표'와 '개발중인 지표'를 공유하고 있다!! ▼아래 링크 참조

추산된 지표와 개발 중인 지표 정보 | Facebook 비즈니스 고객 센터

 

추산된 지표와 개발 중인 지표 정보

지표 계산 방법 및 새로 도입되거나 테스트 중인 지표를 이해하려면 추산된 지표와 개발 중인 지표를 살펴보세요.

ko-kr.facebook.com

2. 스마트 헬스케어

불규칙한 식습관, 적은 운동량 등으로 고통받던 현대인들은 100세 시대가 다가옴에 따라 건강 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또한 높아진 기술력으로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이 각광받는 추세이다. 이에 더불어 IoT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웨어러블 헬스기기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개인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건강기록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다. 헬스장에나 가야 겨우 재볼 수 있었던 인바디를 지금은 손목에 찬 애플 워치로 1초 만에 측정해볼 수 있는 시대를 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은 당연히 현대인들의 건강 관련 지표👨🏻‍⚕️를 눈여겨 볼 것이다. 사람들이 어떤 질병에 취약하고, 어떤 병을 관리하고 싶은 지 알아야 그에 맞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속도가 붙는 고령화 추세에 어떤 헬스케어 서비스를 내놓아야할 지, 비만 헬스케어 서비스는 어느 시장에 타겟팅 해야할 지 등등,,, 건강 관련 지표는 많은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지표이다. 

  • 고령화 추이, 평균 수명 지수, 중증도 질환 지수, 건강지수, 만성질환/질병 발생률, 흡연율, 비만율, 행복지수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하고, 리드하기 위해서는 와 스마트 기술 관련 지표 역시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다른 회사가 선보이지 않은 혁신적인 기술로, 사람들의 질병을 정밀하게 모니터링 하고, 정확하게 분석해낼 수 있어야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어떤 기술이 어떻게 얼마나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지, 특정 나라가 어느 질병과 어느 기술에 주력하고 있는지를 알아내는 것이 비교우위를 가지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국가별 기술 출원/특허 비율, 출원/특허 증가율, 국가별 주력 기술 분야, IoT 기술 주요국 현황
  •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 정확도, 진단 효율

 지표는 왜 필요할까? 

지표는 앞서 말했듯이  조직의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의 중요한 도구이다. 조직의 목표와 전략은 무엇인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은 무엇인지 조직원들에게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다음 스텝은 어떻게 밟아야할 지 결정을 돕기도 한다.

 

지표가 정립되지 않으면 효율적인 기업성과 관리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지표는 기업의 현재 상황와 가치를 보여줌과 동시에 기업의 미래를 예측하기 때문에 조직이 지속적으로 살아남기 위해서 지표는 필수적이다. 

 

 지표를 어떻게 공유할까?

이러한 지표들을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공유할 수 있을까? 지표는 구체적인 수치를 가지고 있고 이는 시각화가 가능하다. 구글 스프레드 시트나, 구글 슬라이드, ppt 등 대시보드를 만들어 시각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효과적인 '스토리 텔링'을 할 수 있다. 지표를 정확하고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왜 그 지표가 중요한지, 어떻게 지표 분석을 했는지 등등 팀원이나 이해관계자들을 설득하지 못하면 지표는 무용지물이 되어버리고 만다. 지표의 가치를 설득하는 '스토리텔링' 기술 역시 데이터 애널리스트의 중요한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