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9) 썸네일형 리스트형 [SQL-P] 해커랭크 Basic Join_African Cities African Cities ** 'AS' (alias)를 쓰는 습관 ** 별칭 뒤에는 무엇을 말하고자하는지 정확하게 써주기 ** ; 붙이는 습관 ** INNER JOIN [TIL] 2020.12.02 첫번째 프로젝트를 마치고.. SQL 쿼리문을 작성해 실제 데이터를 만져보는 시간을 가졌다. 처음 과제를 받고는 하루종일 멘붕에 빠져있었다. 데이터 분석가로서의 자질이 있는 건가 의심을 하기도 했다. 지금이라도 그만두어야 하나 생가곧 했다. 하지만 더이상 물러날 곳이 없어서 그냥 부딫혔다. ㅡ 결국 해냈다. 완벽하지는 못했지만 완성은 했다. 시작이 반이라는 말이 있듯이 일단 저지르면 수습하면서 완벽해지면 된다. 더 힘내보자.!! 구글 인터뷰 질문 SELECT cs.case_id, cs.timestamp, cs.score FROM `untechbox-sql.interview_question.case_score` AS cs INNER JOIN ( SELECT case_id, MAX(timestamp) AS most_recent_date FROM `untechbox-sql.interview_question.case_score` GROUP BY 1 ) AS md ON cs.timestamp = md.most_recent_date AND cs.case_id = md.case_id; Q2. We have a "HISTORY" table with 4 fields User_id Action_date Action_time ActionQ: Create the fo.. [SQL-G]'CASE' + 집계함수(Aggregate Functions) 📊 집계 함수(Aggregate Functions)와 CASE 문(statement) 같이 쓰기 > 1. 데이터 분류(하는 필드 만들기) CASE WHEN-(AND)-THEN-END-AS '문자열' 2. (WHERE 문 내에서) 데이터 필터링 3. 데이터 집계 (based on the result of a logical test..?) COUNT(CASE-WHEN-(AND)-THEN-END)AS 컬럼명 ¶ COUNT(CASE ... ) *CASE문에서 반환된 모든 ID를 COUNTS한다. *두번째 CASE 문을 추가하고 시즌별로 퀴리를 그룹화한다. **THEN 뒤에 '문자열'뿐만 아니라 필드명, 숫자 등 원하는 모든 것 온다 (1,2 번 기능과 차이점..?) ¶ SUM(CASE ... ) ***ELSE .. [개념 정리] 비즈니스 지표와 그 활용 기업 경영에서 "지표"는 조직의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의 중요한 도구이다. 기업은 방대한 데이터가 쌓이면, 데이터를 이리저리 뜯어보고 합쳐보기도 하면서 그 속에서 의미 있는 지표를 발굴하게 된다. 흔히 말하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를 떠올려보면 되겠다. "비즈니스 목표를 이루기 위해 꼭 챙겨야할 KPI는 무엇인지, KPI는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언제, 얼마나,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 등등..." 지표가 있기 때문에 기업의 방향과 목적을 구체적으로 얘기할 수 있는 것이다. 지표에는 재무지표, 학습/성장지표, 고객 지표, 내부프로세스 지표 등 수많은 지표들이 있다. 산업별로 기업별로 비전도 다르고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활용할 지표도 달라지게 된다. 오늘 포스트에.. [TIL] 2020.11.22 일요일 [Lesson] DataCamp_Joining Data in SQL_4th.Subqueries [Lesson] DataCamp_Intemediate SQL_We'll take the CASE (UNCOMPLETED) "데이터"를 공부한 지 21일 되는 날.. 글쓰는 습관이 되어있지 않아... 미루고 미루다 TIL을 써본다. 💨 오늘은 DataCamp의 'Joining Data in SQL' Course 에서 4th.Subqueries 파트를 공부했다. challenge 문제를 3개 정도 풀어보았는데 의외로 잘 풀렸다. 하지만 아직 문법 구조나 답을 도출하는 과정의 논리가 완벽하게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 다음주는 무조건!! Introduction과 Joining Data 파트 리뷰와 블로깅을 마무리 .. [TIL] 2020.11.21 토요일 블로깅 과제 마무리 및 제출 인사이트 도출은 정말 어렵다.. [개념 정리] 기업에서 데이터를 모으는 방법 기업에서는 어떻게 "데이터를 수집"할까? 오늘은 기업이 원하는 데이터들을 어떻게 수집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수집 과정을 면밀하게 살펴보려면 수집 계획의 수립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데이터를 선정 기준은 무엇인지, 테스트 수집 단계에서는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 데이터의 수집, 가공, 저장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 등등 다룰 것이 끝도 없지만..! 오늘은 수집 기술에 대해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또한 데이터 수집의 위치, 주기, 저장 형태 등 세부 요소들과의 상관관계 역시 좀 더 공부한 뒤에 추후 포스팅을 통해 밀도 있게 다뤄보도록 하겠다. 그렇다면, 데이터 수집 이란 무엇일까? 간단히 정의해보자면... "서비스 활용에 필요한 데이터를 시스템의 내부 혹은 외부에서 주기성을 갖고 필요.. 이전 1 2 3 4 다음